R&D 정보

한의학 R&D 연구하는 모습 - 자생의료재단

외상성 안면신경마비 환자에 대한 한방치료 효과 확인(SCI급 국제학술지 게재)

등록일
2023.11.15
조회수
3,528

자생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 연구팀이 외상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한방치료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하악골(아래턱뼈) 골절로 인한 외상성 안면신경마비 환자에게 추나요법, 침∙약침치료, 한약 처방 등 한의통합치료를 실시한 결과 2달 만에 정상에 가깝게 회복되는 모습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증례보고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Healthcare (IF=2.8)’ 9월호에 게재됐습니다.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내원한 외상성 안면신경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올해 1월까지 2개월 간 치료를 진행했습니다. 환자는 지난해 8월 추락사고로 좌측 하악골 골절 후 외상성 안면신경마비가 나타난 만 24세 남성으로 한의통합치료를 시작하기 전 3개월 간 타 병원에서 통원치료를 진행했으나 호전이 없었습니다.

 

환자의 증상 정도 측정에는 ▲HB-Grade와 ▲야나기하라 평가(Yanagihara grading score)가 사용됐습니다. 두 척도는 안면신경마비 증상 진단을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로 HB-Grade는 총 1~5단계로 분류되며 1단계는 정상, 5단계는 완전마비 상태를 뜻합니다. 야나기하라 평가는 총점 40점 만점에 점수가 높을수록 정상에 가깝습니다. 해당 환자는 내원 당시 HB-Grade가 5단계, 야나기하라 평가는 9점으로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고 있었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침, 약침, 뜸, 부항과 함께 안면부 추나요법(SJS 무저항요법) 및 와사해표탕 한약 처방을 실시했습니다. 안면부 추나요법은 한의사가 틀어진 안면 근육을 교정하는 신경근육 재훈련(Neuromuscular re-education) 수기요법으로 신경과 근육 정상화에 효과적인 한방 치료법입니다.

 


 

또한 와사해표탕은 주요 한약재인 택란이 신경재생 인자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2021년 SCI(E)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flammation Research (IF=4.953)’에 게재된 바 있습니다. 2개월 간의 치료 결과, 환자의 HB-Grade는 2단계로 낮아졌고 야나기하라 평가도 34점으로 증가하는 등 유의미한 호전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논문은 하악골 골절 외상성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한의통합치료의 효과를 입증한 첫 번째 증례보고로 수술적 처치 외에 외상성 안면신경마비 환자가 고려할 수 있는 대체 치료로서 한의통합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