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인 줄 알았더니 이상근증후군?
- 등록일
- 2025.04.16
- 조회수
- 652
요즘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거나,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있는 분들 정말 많죠. 이런 생활이 계속되면 척추에 부담이 쌓여서 허리나 엉덩이, 다리까지 아픈 증상이 생기기 쉬운데요.
대부분은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지만, 알고 보면 엉덩이 깊숙한 곳에 있는 근육이 문제일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허리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지만 또 다른 질환인 이상근증후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상근이란 고관절 쪽에 위치한 엉덩이 근육 중 하나로, 고관절을 바깥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다리를 밖으로 내뻗는 동작들에서 사용하게 됩니다.
이상근 바로 아래에 좌골신경이 위치해 있는데, 이 때 이상근이 좌골신경을 압박해 엉덩이부터 다리쪽까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을 바로 ‘이상근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이상근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이상근이 위치한 엉치 쪽에 느껴지는 통증으로, 움직일 때 심한 고관절 통증이 있고 신경을 압박하여 다리로 이어지는 방사통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허리, 사타구니 주별, 항문 주변, 허벅지 뒤쪽, 다리, 발 등에 통증이 있거나 배변을 할 때 직장 통증 및 이상 감각이 있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상근증후군은 다리로 이어지는 방사통 때문에 허리디스크 등 다른 척추질환으로 오해하기 쉽기 때문에 섣부른 자가 판단보다는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골반이나 엉덩이 쪽에 외상을 입거나, 이상근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져서 좌골신경을 압박했을 때 이상근증후군은 발생할 수 있는데요.
특히 다리를 꼬거나, 양반다리를 자주 하거나, 한쪽 다리만 의자에 올려놓거나, 침대에 누웠을 때 엉덩이를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등 평소 자세 습관이 올바르지 않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방에서는 추나요법, 한약, 침/약침, 동작침, 부항, 뜸 등 한방통합치료를 통해 이상근증후군을 치료합니다.
추나요법은 고관절부터 척추 전반의 틀어진 부분을 바로잡아 주며, 한약은 이상근과 주변 근육, 인대 등을 풀어주어 주변 조직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동작침은 통증이 발생한 부위의 경혈에 침을 꽃은 후 환자의 동작을 통해 통증을 줄이는 자생한방병원만의 특화된 치료법으로, 동작침 치료시 긴장된 주변 근육을 풀고 어혈을 제거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평소 고관절 주변 근육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은 이상근증후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만약 이미 통증이 느껴진다면 이 지압법을 활용해 보세요.
1. 환도혈
두 발을 딱 모으고 섰을 때 고관절 위쪽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을 환도혈이라고 합니다. 이는 다리의 기와 혈을 풀어주는 혈자리로, 꾹꾹 누르면 허리부터 엉덩이까지 통증과 다림저림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2. 곤륜혈
발목 쪽 아킬레스건을 따라 올라갔을 때 발꿈치 힘줄 앞부분에 움푹 하진 곳을 곤륜혈이라고 하며 허리통증, 좌골신경통, 하지방사통 등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바깥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엔 몸 여기저기의 불편감이 더 느껴질 수 있습니다.
피곤해서 그러겠지..라고 넘기지 말고 통증이 계속된다면 꼭 제대로 진단 받고 치료 받으셔서 편안한 일상 보내시길 바랍니다.
도움말 : 자생한방병원